리뷰] 클럽 아레스 스포 있음

  기대를 가지고 본 작품은 아니었으나 기대이상의 작품이어서 끝까지 시청한 작품이었다. 기본적인 줄거리는 의대생 1학년으로 들어가게 된 가난한 집안 출신의 주인공이 대학교에 존재하던 비밀스러운 사교모임에 가입하게 되면서 생기는 일련의 사건들이다. 이런 종류의 하이 클라스 사교계에서 생기는 온갖 폐악질을 보여주는 다른 드라마인지 다큐멘터리가 넷플릭스에 하나 더 있었던 것 같은데 여튼 네덜란드에서는 클럽 아레스라는 곳에 상류층 자제들과 부모들이 모여서 작당모의를 하게 된다.  이 드라마를 끝까지 보게된 계기중에 하나는 주인공인 로사 스테인베이크 역을 하는 제이드 올리버그 때문이었다. 일단 마스크가 굉장히 내가 좋아하는 혼혈(?) 같은 마스크였고 극 내내 그냥 섹시한것 같다. 이거 보고 나서 다른 작품을 찾아보려고 했는데 재밌어 보이는게 없어서 좀 아쉬웠음 ㅠㅠ.  그리고 또 하나의 이유는 극중에서 주인공인 로사가 매우 주체적인 여성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아무 이유없이  주변의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서 폭력이라는 수단을 동원하는 여성들이 나오는 영화는 꽤 있는 것 같은데 자신이 처한 경제적인 위치 혹은 욕망하는 것을 위해서 주체적으로 남성위주의 집단에서 행동하는 것은 굉장히 매력적인 경험이었다. 이렇게 매력적인 캐릭터가 등장하지만 이 드라마를 끝까지 보는동안 느낀 것은 드라마에서 종일 풍기는 “우리는 엄청 위험한 집단입니다” 라는 아레스가 사실 무슨 나쁜짓을 하냐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나오는 회원들은 하나같이 구린 부분들이 있다. 내가 궁금했던 것은 아레스 자체의 악행에 관한 것이었다.)얘네들이 살인을 하나? 이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죽음과 관련된 장면은 사실 거의 모든 장면이 “자살”이다. 사기를 치나? 다들 돈이 많아서 사기치고 다닐 이유가 없다. 성매매? 부자라서 남녀모두 그냥 섹스가 일상적인 것 처럼 나옴. 원래부터 돈으로 귀싸대기를 치는 년놈들이라 나쁜짓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얘네들이 뒤가 구린 이유는 근본...

메모하기로 결심한지 n 일차

간단하게 생각을 정리하는게 앞으로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어서 간단하게 Onenote 랑 메모장+샤프 or 볼펜을 들고 다닌다. 메모하면서 느낀게 확실히 생각을 글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목적성이 뚜렷해진다는 느낌이 든다. 생각만으로 사유를 끝내면 물에 잉크 떨어진 것 마냥 빠르게 아이디어가 분산되고 ...

Blizzcon 2018 Diablo 관련 컨텐츠

이미지
아니 디아블로 M 이 왠말이냐 실제로 폰전체화면으로 해놓고 보니까 한숨나오고 새벽까지 안자고 본 내가 막 자괴감 들고 그럼  잘 만들면 상관없는데 포트나이트 짭같은거 만들고 그러던 회사 한테 외주줘서 ip 소모하고 애정하던 게임 시리즈 이렇게 되니까 진짜 한숨 나옴   현장에서 보던 사람도 빡돌았는지 반응이 시원찮음 빡쳐서 그냥 다 등돌리고 나가버림 Reddit 디아블로 디스코드 방도 반응 비슷함  Mr********오늘 오전 5시 21분 HAHAHAHAHA Blizzard is pimping it's fans Da*******오늘 오전 5시 21분 people are M-A-D Wi********오늘 오전 5시 22분 i want this to backfire so bad Se****오늘 오전 5시 22분 Some mod pin the youtube link and tell people to dislike Qui****오늘 오전 5시 22분 KEK Ga****오늘 오전 5시 22분 There are ALWAYS idiots/fanboys who will defend anything Qu*****오늘 오전 5시 22분 WHAT A DISASTER Dae*****오늘 오전 5시 22분 battered housewife syndrome. Wa********오늘 오전 5시 22분 People are mad and they seem to have no clue where the game is going, I genuinely think they might cancel this Da******오늘 오전 5시 22분 "it's not so bad u know?" 그냥 터졌어 그냥

저널 impact factor에 대한 고찰

이미지
요새 Advanced materials 나 다른 관련계열 자매지들 인용지수가 천정부지로 높아지는 걸 보면서 이게 과연 실속있게 IF 가 늘어나는  것인가 생각이 든다. 일단 IF (피인용 지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A: 1999년에 발행된 잡지에 실린 논문에서 특정 잡지의 논문이 인용된 건수  B: A의 인용된 건수 중 이전 2년간(1997-1998)의 발행분에 대한 인용 건수  C: 이전 2년간(1997-1998) 그 특정 잡지에 실린 논문의 발행 수  D: 그 특정 잡지의 1999년도 Impact Factor = B/C  간단히 말해서 2년동안 인용된 논문들의 수를 척도로 하여 결정되는 방식이다. 2년동안의 데이터가 쌓여야지 IF 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새로 나온 저널들의 경우엔 IF 를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튼 IF는 이렇게 결정되는 것이고 여러가지로 연구자에게 있어서는 투고하고자 하는 저널을 선택할 때 하나의 중요한 척도가 된다. IF를 산출방식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저널에서 좋은 논문이 나오게 되면 하나의 분야를 열게 되고 논문을 인용함으로써 저널의 IF는 상승하게 된다. 당연히 이게 좋은 수순이고 이상적인 방식으로 IF 가 올라가게 된다면 저널의 공정한 지표의 하나로써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IF가 그렇게 이상적으로 작동한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다. (내 생각에는) 일단 연구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구자로써의 지표중에 하나가 인용횟수인데 이를 높이기 위해서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논문을 인용하는 행위를 아주(매우) 자주한다. 물론 논문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인용으로 필요하다면 넣어도 문제가 없겠지만 에디터나 리뷰어가 그렇지 않을 경우를 일일히 다 찾을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자기 인용을 하면서 특정 주제의 논문을 계속 인용하는 부적절한 사태가 일어나게 된다. 두번 째로 에디터의 입김이 작용하는 ...

How to calculate the GDP in the ancient era?

이미지
On the internet, there are full of tech YouTubers and journals that introduce the new technologies and other kinds of stuff which is related to productivity. When they introduce the things sometimes theses graphs are mentioned. Those two graphs are including almost the same data. Its all about GDP aka. Gross domestic product. Its based on the statistics that one nation recorded.  Meaning of GDP is simple, in the specific period of time how much that nation turned out the goods and services in terms of market value. Normally its decided with the 1-year term.  From here my curiosity born. Actually, before 1600years actual nation incomes and market value, related documents are really hard to get. Even though they can get the documents of tax collector and other kinds of government financial statements (or kingdom financial statements) in those days the economic arithmetic and financial statistics are not well defined. So, personally, I cannot b...

대학원 생활과 생활고 그리고 블로그

대학원 생활하고 힘든 점이 정말 많았다. 물론 힘든 점만 있는 건 아니었다. 여러가지 성취감을 느낄만한 일들도 계속 했었고, 나름의 성과도 있었고, 새로운 사람들도 만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할만했고 아직도 그 생각은 변함이 없다. 그런데 이렇게 생활해도 하나 부족한게 있는데 바로 돈... 솔직히 대학원 생활이 학생생활과 다를 바가 없기에 항상 생활고에 시달리게된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나의 경험이나 소질을 살려서 일상생활에서 금전적으로 좀 재밌게 돈을 벌 수 있을까 생각을 해봤는데 아무래도 'Youtube'가 제일 만만해 보였다. 그런데 이게 또 만만치가 않은 시장이었다. 아무래도 얼굴까고 하는 동영상으로 소비자들가 접해야 한다는 것에서 부담감을 느끼는 게 가장 컸던 것 같다. 그리고 유튜브 한다고 깝친다고 이것저것 사들이다가 나중에 공치면 그거야 말로 폐가망신의 지름길 아닌가 생각이 들어서 블로그를 한번 시작해보게 되었다. 이공계 출신이라는 점에서 좀 다른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한 돈벌이를 시작해보려고 하는건데 이 바닥도 녹록치 않다는 생각이 이런저런 포스트에서 보여서 걱정이긴하다. 그래도 이건 밑천제로에서 시작하는 거니까 좀 나으리라... 여튼 시작합니다.